자폐성 장애를 가진 내 자녀에게 맞는 치료적, 교육적 서비스는 무엇일까?
자폐성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는
자폐성장애인 당사자를 비롯한 가족의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며
자폐성장애인에게 필요한 도움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도록 도울 것이며
강은희 사회성발달연구소가 그 어려운 길의 동반자가 되고자 합니다.
저의 박사과정의 논문인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능 향상 개입에 대한 자문화기술지」는
이런 저의 고민과 그 해결과정을 집대성한 산출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의 박사학위 논문을 간략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자폐성장애인이란?
(Autistic Spectrum Disorder)
반복적이고 제한적인 관심과 활동으로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일상생활 적응과 교육적 성취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다.
사회적 기능에 대해서
(social skills)
타인의 권리, 요구, 만족, 의무에 손해를 끼치지 않고 자신의 권리, 요구, 만족, 의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고 대인 관계적 상황에서 긍정적 느낌 또는 부정적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자폐성장애 아동의 경우 일상생활 적응과 교육적 성취를 향한 기본적인 준비 역량을 일컬는다.
자문화기술지
연구자의 경험- 5년동안 자폐성장애 아동과 함께 활동
질적 연구의 한 분야인 ‘연구자 자신 혹은 자신과 긴밀하게 관련된 집단이나 타자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동성, 2012)인 연구자의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능 향상에 개입한 실제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자폐성장애 아동의 행동특성을 밝히고 그에 따른 해법(의사소통 방식)을 제시하였던 연구자의 경험에 대한 구체적 기술이다.